구글 드라이브를 100% 이해 할 수 있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내 PC의 하드 드라이브 처럼 인터넷 구글 드라이브에 나만의 하드 드라이브를 하나 만들어 놓는 개념이 구글 드라이브이다. 과거에 우리는 PC에서 문서를 만들면 그 문서를 로컬드라이브(PC, USB,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로컬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 관리하기도 하지만 구글 드라이브처럼 클라우드 환경에서 파일을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IT관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인터넷 서버를 개인 PC의 하드르라이브처럼 사용할 수있는 컴퓨팅 환경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한다 -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
구글 드라이브의 개념과 사용법은 상당히 간단하다. 브라우저를 통해서 자신이 보유한 구글계정으로 구글 드라이브에 접속을 하자. 바로 아래와 같은 자신만의 웹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과 메뉴는 직관적이다. 우리 모두 사용법에 익숙한 PC의 파일관리개념을 그대로 사용하면 구글 드라이브의 사용이 가능하다. 폴더 생성하고 삭제하기. 생성된 폴더에 파일 업로드하기. 구글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 다운로드하기등 익숙한 기능을 실행하여 웹상의 나만의 드라이브를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정당 제공하는 용량은 15G로 적은 편이다 저장장치의 기능으로만 사용한다면 어느정도 사용 가능한 용량일 수 있겠지만 구글 메일, 구글 포토등 구글의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와 용량을 쉐어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저장공간의 부족을 경험 할 수 있다. 용량을 증대하려면 월 정액 또는 년 단위 사용료를 지불해야한다 (100G 월 2,400원 / 200G 월 3,700원)
구글 드라이브는 다른 웹 드라이브 보다 특별한 이유가 있다. 그건 구글 드라이브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앱)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 말이 무슨 말이냐면 내 PC에 브라우저만 있으면 다른 프로그램 없이도 구글드라이브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문서의 작성, 편집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브라우저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실행하고 프리제테이션 문서를 만들 수 있으며, 그렇게 만든 문서를 다시 구글드라이브에 저장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Docs(워드), Sheets(엑셀), Slides(프리젠테이션), Drawings(그리기), Maps(지도)등의 기본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지원하고 Connect more Apps를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글 드라이브의 특별함은 폴더와 문서의 공유기능이다. 웹 드라이브를 통해서 관리되기 때문에 특정 폴더와 문서를 공유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공유 대상자를 설정하여 문서들을 자유롭게 공유 관리할 수있는 기능을 준다. 구글 드라이브와 관련해서는 그 기능 하나하나, 그리고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앱 하나하나를 깊게 이해한다면 정말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꼭 잘 이해하고 배워서 활용하게 될 수 있기를 바란다
Copyright 2020. platformstroy. All rights reserved
[구글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에서 MS파워포인트 파일 편집 (1) | 2021.01.28 |
---|---|
[페이스북] 페이스북에서 나중에 다시 보기위한 게시글, 동영상 저장 관리 방법 (0) | 2021.01.27 |
[구글포토] 구글 포토의 콘텐츠 동기화 개념 이해와 삭제등 관리 방법 (0) | 2021.01.25 |
[스노우] 스노우를 이용해서 고급스런 수채화풍 이미지 만들기 (0) | 2021.01.24 |
[구글캘린더] 구글 캘린더에 새 캘린더를 추가 생성해서 사용해보기 (0) | 2021.01.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