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에 블로그를 개설했다면 자신의 블로그가 사람들에가 많이 읽혀지기를 바랄것이다. 네이버블로그가 네이버검색에 별도 작업 없이도 노출이 잘 되듯이, 티스토리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다음(Daum)과 줌(Zoom) 검색엔진에 별도 작업없이 노출 된다. 하지만 네이버와 구글 그리고 빙에는 각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웹마스터도구를 통해서 사이트URL과 사이트맵 그리고 RSS를 등록해야 각 검색엔진에서 관련 검색이 이루어질 때 자신의 블로그 노출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1. site url
2. sitemap.xml
3. rss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엔진에 잘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위에 기재된 1번, 2번 3번 각 항목을 각 검색엔진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면 된다. site url은 https://platformstory.tistory.com 와 같이 자신이 티스토리를 생성할 때 설정한 주소라는 것은 쉽게 알수있다. 그런데 sitemap.xml과 rss는 무엇일까? sitemap.xml은 검색엔진이 검색하려는 웹 사이트가 어떤 구성으로 되어 있는지를 xml의 형식으로 정의해 놓은 문서를 말한다. 예전에는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만들면 별도로 sitemap.xml을 생성해서 검색엔진에 등록을 했어야했는데, 지금은 티스토리블로그에서 자동적으로 sitemap.xml을 생성해서 제공한다. 또한, rss는 복잡한 html문서를 텍스트로 요약해서 정리한 summary 문서라고 이해하면 된다. rss도 티스토리에서는 자동적으로 생성해서 제공된다.
sitemap.xml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관리탭>블로그 설정으로 들어가면 아래 그림과 같이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rss의 경우 주소가 따로 나와있지 않으나 /sitemap.xml 대신 /rss 를 입력하면 주소를 얻을 수 있다.
sitemap 주소 : https://platformstory.tistory.com/sitemap.xml
rss 주소 : https://platformstory.tistory.com/rss
sitemap과 rss의 주소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았으면 이제 각 검색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해보자.
네이버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하고 들어가 로그인한 후 웹마스터 도구로 이동하면 사이트 등록창을 통해서 사이트 등록이 가능하다. 사이트 등록 후 사이트 url을 클릭하고 들어가 요청>RSS제출, 사이트맵 제출을 완료하면 된다.
구글은 구글 서치콘솔을 통해 네이버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등록이가능하고, MS의 빙은 구글등록한 내용을 자동으로 가져오기를 통해서 완료가 가능하다
이렇게 검색엔진에 등록이 완료되면, robots.txt를 모든검색로봇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User-agent: *
Allow:/
컨텐츠 robot.txt 파일을 만들어 티스토리 스킨편집>html편집>파일업로드를 통해서 루트디렉토리에 업로드하면 모든 적용이 완료된다. 물론 적용이 완료되었다고해서 바로 자신의 블로그 글이 노출되는 것은아니다. 다양한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자신의 글의 적합성이 높다면 노출이 될 것이다. 하지만 기본 작업도 하지않고 노출이 되기는 어려우니 자신의 글 조회수를 올리려면 위에 기술한 검색엔진 등록을 반드시 진행하도록 하자
(robots.txt파일은 네이버웹마스터도구>검증>robots.txt로 이동하면 robots.txt 간단생성을 통해 만들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미리캔버스] 로고, 배너, 카드뉴스, 썸네일, 유튜브 썸네일, PPT, 인포그래픽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완전 무료 디자인 서비스 미리캔버스 (0) | 2021.02.06 |
---|---|
[구글드라이브] 블로그에 구글드라이브 파일 압축파일 폴더 링크를 연결하는 방법 (0) | 2021.02.04 |
[Pixel Mob] 웹상에 모든 무료 이미지, 일러스트, 영상자료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픽셀몹 (0) | 2021.02.02 |
[Smallpdf] pdf ppt 변환, pdf word 변환, pdf Excel 변환, pdf 편집, pdf 압축등 pdf에 대한 다양한 작업을 가능하게하는 웹 플랫폼 Smallpdf (0) | 2021.02.01 |
[mySEM] 영화를 보면서 영어공부하기 가장 좋은 서비스 (1) | 2021.01.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