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를 생산하려면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 이전에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준비물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준비물은 바로 폰트(Font)다. 폰트는 테스트나 이미지에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며, 동영상에서도 자막으로 사용되는 필수적인 콘텐츠 구성물이다. 폰트는 대체적으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어서 아무 폰트나 마음대로 사용하면 저작권 침해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폰트를 사용할때는 사용하려는 폰트가 무료로 사용 가능한지를 먼저 확인하고 사용해야만 저작권 침해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이나 디자이너, 웹 퍼블리셔, 소셜 크리에이터들이 무료폰트를 얻기위해서 방문하는 대표서비스 2개는 구글폰트와 눈누 사이트다. 구글폰트는 무려 1,000개가 넘는 무료 폰트를 제공한다. 영어, 한국어외 20여개 언어의 폰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다국어를 사용한 콘텐츠 제작에 유리하다. 하지만 한글폰트의 경우는 겨우 26가지만 제공하고 있어서 한글로 콘텐츠를 구성하려 할 때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이다.
한글로 콘텐츠를 구성하려 할 때 다양한 무료폰트를 구하고 싶다면 눈누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눈누는 약 460여종의 한글폰트를 제공한다. 무료 한글폰트를 모아둔 최대의 서비스 사이트다. 하지만 모든 폰트가 다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폰트는 아니다. 대부분 무료로 사용 가능하지만 특정 폰트의 경우 사용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전에 각 폰트의 상세페이지에 들어가서 라이선스 본문과 라이선스 요약표를 보고 사용해도 되는 영역(카테고리)과 사용범위를 확인해야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배포 하는지, 폰트 사용자에 한해서 재배포가 가능한지, 폰트 파일의 수정과 유료판매가 가능한지, 폰트의 사용 카테고리가 별로 어떤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1. 인쇄 (브로슈어, 포스터, 책, 잡지 및 출판용 인쇄물등)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2. 웹사이트 (웹페이지, 배너광고, 메일, 브로슈어등) 영영에서의 허용여부
3. 영상 (영상물 자막, 영화 오프닝/엔딩 크레딧, UCC등)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4. 포장지 (판매용 상품 패키지)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5. 임베딩 (웹사이트 및 프로그램 서버 내 폰트, E북 제작)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6. BI/CI (회사명, 브랜드명, 상품명, 로고, 마크, 슬로건, 캐치프레이즈)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7. OFL (폰트파일의 수정/복제/배포, 폰트파일의 유료판매) 영역에서의 허용여부
콘텐츠 생산의 기본 준비물 폰트, 없어서는 안 될 준비물 폰트, 구글폰트나 눈누 서비스를 이용해서 구해보자.
사진을 가지고 움직이는 이미지(동적 GIF)를 만들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3가지 방법 [포토샵&포토스케이프&EZGIF.com] (0) | 2021.02.17 |
---|---|
[블로터 & 벤처스퀘어] 플랫폼과 서비스 그리고 IT 정보 및 스타트업 정보의 최강 매체 블로터와 벤처스퀘어 (0) | 2021.02.14 |
[노션] 웹을 통한 컨텐츠 생산 관리 출판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고 메모, 스케쥴, 데이터등 업무와 일상을 가장 쉽고 빠르게 정리 생산하여 웹 퍼 (0) | 2021.02.12 |
[클로바더빙] 텍스트를 음성으로 바꾸어 주는 더빙 프로그램 클로바더빙 (0) | 2021.02.10 |
[픽셀즈] 픽사베이 못지 않게 무수한 고 퀄리티 무료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는 픽셀즈(pecels.com) (0) | 2021.02.09 |
댓글 영역